싱글 보드 컴퓨터

[라즈베리파이 재설치] 1. Raspbian 재설치 및 SSH 설정 기록

과금 2023. 5. 1. 19:30

이런저런 이유로 메인 SD카드를 더 큰 용량으로 새로 구매하는 김에

시스템을 처음부터 다시 세팅하게 됐다

더보기

지금 사용 중인 시스템은 최초의 동작확인용 테스트를 해볼 작정으로 대충 작업했던 것에서

그대로 주저앉은 상태라 초기 세팅이 계획 없이 마구잡이였고

SD카드보다 SSD가 안정성이 높다는 얘기에 추가로 USB-SSD를 달아서 사용하는데 

벌써 2년 가까이 쌓이다 보니 용량이 부족해진 데다
메인 SD카드는 저용량으로 충분하겠다는 처음 예상과 달리 

이것조차 매번 용량이 부족해져 

수시로 몇몇 파일들을 지우거나 다른 드라이브에 옮기는 작업이 점점 더 귀찮아지고 있다

또 apt update와 upgrade 명령을 아무리 수행해 봐도 

chromium 브라우저의 버전이 여전히 너무 낮아 어느 커뮤니티에 문의했더니 

OS 자체를 업데이트하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이번에야말로 기록을 좀 남겨놔야 

혹시 다음번에 또 필요해졌을 때 다시 여기저기 검색하느라 고생하지 않겠지

신상

새로 구매한 SD카드는 삼성 제품이다
이전에 구매했던 샌디스크 제품을 생각하고 있었지만 

올해 들어 2천 원이나 인상되어 같은 가격대의 타사 제품을 골랐다
상품을 받아보고 나니 샌디스크처럼 정식 판매 제품에 스티커를 주는 것도 아니라 

설령 짝퉁이라 해도 구별할 방법이 없는 듯해서 불안하지만 뭐 이제 와서 어쩔 수 있나

사용할 OS는 Raspbian Lite
웹사이트를 크롤링하는 스케줄 작업이 주된 사용처라서 GUI는 딱히 필요 없다

 


설치파일을 공식홈에서 내려받는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받은 파일의 이름은 imager_1.7.4.exe
2년 전엔 버전이 1.6.2였는데 그새 올라갔다

대충 설치하고나서 실행 후 처음 눈에 띈 점은

무려 한글 지원!
구버전은 영어였으니 이 정도면 장족의 발전이지 암

운영체제를 선택하고
: Raspberry Pi OS (other) -> Raspberry Pi OS Lite (64-bit)
SD카드를 지정한 후

추가 파일 작성이 필요하다면 옵션 가장 하단의 '완료되면 미디어 꺼내기'를 해제해 줘야

탈착을 다시 해야하는 번거로운 짓을 생략 가능

 


쓰기 버튼 클릭 후 한참의 시간이 지나 쓰기가 완료되면
내컴퓨터에 두 드라이브가 추가로
bootfs와 나머지 영역의 두 드라이브가 추가됐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에 ssh라는 파일을 생성해야 비로소 완료
(루트에 해당 파일을 만들어줘야만 ssh가 활성화된다는 설명을 예전 어디서 봤던 기억이 있는데 얼마간 검색해 봐도 그런 내용은 못 찾겠다. 어쩌면 이건 이제 불필요한 작업일지도)

처음부터 SSH를 사용해 원격 접속으로 시작했다는 내 기억과는 달리
적어도 이제는 초기 설정에 모니터와 키보드가 필수인 듯


SSH 접속 요청에 계속 무응답이기에 모니터를 연결해 확인해 보니

제대로 부팅이 완료되지 않고 사용자 이름을 입력하라는 단계에서 멈춰있다

아마도 기본 사용자의 이름과 암호를 자동으로 기본값으로 설정했던 이전 버전들과는 

달리 직접 설정을 강제하는 걸로 정책이 바뀐 듯하다

 

이제 와서 내 취향껏 이름을 정하게 되면

그간 사용하던 다른 기기들의 기존 접속 설정에서

사용자명을 일일이 변경하는 작업이 엄청 귀찮을 테니 사용자명은 전에 사용하던 기본값인 pi를 계승했다


또 어차피 나밖에 안 쓰는데 패스워드는 비워두면 좋겠지만

에러를 뱉으며 거부반응을 보이기에 대충 설정
이전 버전과 다르게 짧고 간단한 패스워드도 상관없는 듯 하니 이거 하나는 좋네

 


하지만 기껏 사용자를 설정한 뒤로도 SSH 응답은 없음
추가 설정이 필요했다
pi@raspberrypi:~ $ sudo raspi-config
Interface Options -> SSH 활성화

설정 전 오지 않는 SSH응답을 한참 기다리던 것이
설정 후에는 오히려 SSH요청 즉시 실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기존 단축아이콘을 접속에 사용하는 대신 수동으로 접속 커맨드를 타이핑한 후
메시지를 잘 살펴보니 연결 대상을 식별하는 키가 저장된 정보와 다르다는 듯

더보기

C:\>ssh pi@192.168.1.5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a host key has just been changed.
The fingerprint for the ECDSA key sent by the remote host is
SHA256:aOJoItwU8GT7B/yQA3waS5hEp4/HoT2ZsJ8PDcGWfc0.
Please contact your system administrator.
Add correct host key in C:\\Users\\me/.ssh/known_hosts to get rid of this message.
Offending ECDSA key in C:\\Users\\me/.ssh/known_hosts:4
ECDSA host key for 192.168.1.5 has changed and you have requested strict checking.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해당 키 파일을 지워주니 간단히 해결됐다

이제 SSH로 원격 작업이 가능해졌으니 불필요해진 키보드와 모니터를 제거

남은 공간을 확인하는 데서 우선은 일단락
pi@raspberrypi:~ $ df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root      492752112 1490908 471212476   1% /
devtmpfs         1776984       0   1776984   0% /dev
tmpfs            1942712       0   1942712   0% /dev/shm
tmpfs             777088    1144    775944   1% /run
tmpfs               5120       4      5116   1% /run/lock
/dev/mmcblk0p1    261108   31298    229810  12% /boot
tmpfs             388540       0    388540   0% /run/user/1000

 

예전 자료들은 저장공간의 파티션을 수동으로 확장해줘야 한다 나오지만

이미 오래전부터 자동으로 잡아주니 별도로 해줄 필요 없다